김종두 다산문화교육원 상임이사 전 국방대학교 교수

정약용(1762~1836) 선생의 가치 지향적 삶과 연관되는 ‘숫자6.7’에는 ‘6렴’과 ‘도인7덕목’이 해당된다. ‘6렴’은 중국 고전에서 부구옹(浮丘翁)이 소현령(蕭縣令)에게 가르쳐 준 ‘육자비전(六字?詮)’을 의미하고, ‘도인7덕목’은 여유당(與猶堂) 당호를 지을 때 인용한 내용으로 노자의 『도덕경』에 나온다.

‘6렴’은 선생과 벗으로 지내던 노론출신의 이재의(李載毅, 1772~1839)가 1814년에 강진초당으로 찾아와 “영암군수로 있는 아들에게 어떻게 해야 목민관직을 잘 수행할 수 있는지 알려줄 글을 하나 써주시오”라는 부탁을 받고서 써준 글인데, 이 내용은 『여유당 전서』 제 1집 ‘증언(贈言)’ 부분에 ‘위영암군수이종영증언(爲靈巖郡守李鍾英贈言)’으로 실려 있다.

‘6렴’은 ①재물(財物)에 청렴하라. ②이성(異性)에 청렴하라. ③직위(職位)에 청렴하라. ④청렴은 투명한 직무(職務)를 수행하게 한다. ⑤청렴은 위엄(威嚴)을 유지하게 한다. ⑥청렴은 강직(强直)함을 유지하게 한다는 내용이다. 목민관답게 처신하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6가지를 당부한 것이다. 또한 선생은 목민관으로서 형벌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당부했는데, 백성과 관련된 일[民事]을 잘못했을 때는 최고의 형벌인 상형(上刑)을, 나랏일과 관련된 일[公事]을 잘못했을 때는 중형(重刑)을, 고을과 관련된 일[官事]을 잘못했을 때는 하형(下刑)을, 목민관의 사적인 일[私事]에 대해서는 문책하지 않는 무형(無刑)으로 다스리라고 이르고 있다.

‘숫자7’은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도인7덕목(道人七德目)’과 관련되며, 이는 ‘여유당(與猶堂)’이라는 당호를 지을 때 적용한 내용이다. 즉 여유당에서 ‘여(與)’는 “머뭇거리기를 겨울의 내를 건너듯이 하겠다.”, ‘유(猶)’는 “망설이기를 사방을 두려운 마음으로 살피며 살아가겠다.”는 의미인데, 여기에는 당시의 시류와 타협하지는 않겠지만 경계하며 살아가겠다는 선생의 의지와 함께 노자(老子)의 『도덕경』에 나오는 도인(道人)의 덕목을 마음에 새기고 살아가려는 선생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도인7덕목’은 ①머뭇거리기를 겨울의 냇가를 건너듯이 한다[與: 若冬涉川], ②망설이기를 사방을 두려운 마음으로 살피듯이 조심한다[猶: 若畏四隣], ③엄숙하고 의젓하여 마치 손님처럼 한다[儼: 若客], ④산뜻하여 얼음이 장차 녹으려는 것 같이 소탈하게 한다[渙: 若氷將釋], ⑤돈독하기를 막 찍어낸 통나무처럼 한다[敦: 若樸], ⑥넓기가 골짜기와 같도록 텅빈 모습으로 살아간다[曠: 若谷], ⑦혼연하여 혼탁한 물과 같이 세속과 어울리며 살아간다[渾: 若濁]는 내용이다.

선생은 이러한 심정을 39세(1800년) 때에 지은 「여유당기(與猶堂記)」에 담고 있다. 그러나 ‘여유당’이라는 당호(堂號)는 부친상을 당한 31세 때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당시 상황과 3형제의 효심과 관련돼 있다. 즉 3형제는 부친 정재원공이 진주목사 임지에서 서거하자 하담 선영에 모시고 마재마을에 망하루(望荷樓)를 짓고 여막 생활을 하게 되는데, 큰 아들 약현(若鉉)은 가문을 지키겠다는 마음을 담아 ‘수오재(守吾齋)’로, 둘째 아들 약전(若銓)은 사려 깊지 못했음을 후회한다는 의미로 ‘매심재(每?齋)’로, ‘막내아들 약용(若鏞)은 주위를 살피며 조심하며 살아가겠다는 의미로 ‘여유당(與猶堂)’으로 당호를 지은 것이다.

이렇듯이 선생은 효(孝), 근검(勤儉), 기기(起記), 공렴(公廉), 충서(忠恕), 3습(三習), 3근계(三謹戒), 위학3요(爲學三要), 4의재(4宜齋), 5교(五敎), 5학론(五學論), 6렴(六廉), 도인7덕목(道人七德目) 등의 가치와 연계된 삶을 살아왔음을 볼 수 있다. 유배형으로 언제 사약(賜藥)이 내려질지 모르는 절박한 상황에서도 오직 나라와 백성을 위해서 옳은 것을 추구한다는 ‘유시시구(唯是是求)’와 ‘목민관이 먼저 자신을 닦고 백성을 편안케 해야 한다’는 ‘수기안인(修己安人)’의 정신을 바탕으로 ‘신아지구방(新我之舊邦)’을 이루어야 한다는 마음으로 500여권의 저술을 남기신 가치 지향적 삶을 발견할 수 있다.

공자(孔子)는 ‘지호락(知好樂)’, 즉 “알기만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논어』 「옹야」)”고 했다. 이런 점에서 ‘정약용유적지’를 두고 있는 남양주시민은 선생을 알아야 한다. 그래야 선생을 알리는 일을 좋아 할 수 있게 되고, 그런 사업에 참여하여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저작권자 © 포커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