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직업이라는 현실적 판단에 따른 것..........

가평군 관내 20, 30대 ‘진짜 청년 농부들’이 늘고 있다.

가평은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21.5%에 해당하는 초고령 사회다. 이 때문에 50세가 넘어도 청년회에서 활동하는 일이 다반사다. 이는 각종 규제로 발목을 잡혀 대규모 산업화가 추진되지 못하면서 젊은이들은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위기가 달라졌다. 가업을 이은 농부에서부터 농업대학을 나온 준비된 농부까지 젊은 농업CEO들이 하나 둘씩 늘어나고 있다.

도시로 나가도 취업이 힘든데다 취업해도 불안한 생활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 보다 본인이 원하면 평생직업이 될 수 있다는 현실적 판단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조종면 김찬웅 농부는 23살이다. 김 씨는 영어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공부하거나 취업 준비에 한창인 또래들과 달리 농부라는 직업을 선택했다.

“농사일 때문이 희망이 생겼다”는 그는 오히려 농업 현장에서 일하는게 힘들지만 더 비전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김씨는 시작단계라 규모가 작지만 향후 더 확장시켜갈 계획을 갖고 있는 김씨는 “꿈이 있기에 열심히 할 수밖에 없다”며 “시작한 것은 끝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33세인 박기열 농부(사진)는 북면에서 16,500㎡ 규모의 화훼농장을 하고 있는 어엿한 10년차 농업인이다.

주작목은 꽃도라지, 꽃해바라기다. 그는 아버님의 가업을 이은 경우로, 대학도 농업대학을 졸업해 미리 농사꾼으로의 준비를 해왔다. 졸업 후 바로 농업에 뛰어들어 벌써 10년이 지났다. 그새 아이도 10살이 됐다.

그 역시 다른 자영업과 마찬가지로 경기악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곤하지만 꼬박꼬박 월급 받는 직장인들이 전혀 부럽지 않다. 늘 똑같은 직급과 월급, 경쟁해야 살아남는 사회보다는 본인이 땀 흘려 노력한 만큼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이 일이 오히려 편하기 때문이다.

‘영농4-H연합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34살의 정명호 농부(사진, 김성기 군수와 함께)는 가평 북면으로 귀농한 경우다.

30살까지 서울에서 생활하다 고향인 가평에서 사과농장을 하기 위해 내려온 아버지가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고 내려온 것.

정씨는 “새로운 시도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면서 발생되는 사소한 문제가 있긴 하다”면서도 “그래도 서울에서 있을 때보다 훨씬 스트레스도 덜 받고 무엇보다 마음이 편하다”고 말했다.

수익이 월등이 뛰어나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장점이 큰데다 농업은 정년이 있는 게 아니라 원할 될 때까지 계속 할 수 있는 일이라는게 그의 생각이다.

‘산 좋고 물 좋은 가평의 애플농원입니다’로 시작되는 휴대폰 통화연결음이 인상적인 젊은 농부 정치호 씨는 32살의 사과농부다.

가평읍에서 6,000평 규모의 사과밭을 가꾸고 있는 그는 사랑스런 두 딸의 아빠이기도 하다. 그 역시 가업을 이어받은 경우다. 수입이 정기적이진 않지만 스트레스가 적고 땀 흘린 만큼 성과가 드러나는게 큰 장점이라는 정씨는 “‘사과’로는 대한민국 최고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그래서 8년 경력의 농사꾼임에도 불구하고 계속 배우며 일하고 있다.

24세인 조종면 서한영 씨는 조경수를 키우시던 아버지를 늘 봐왔던 터라 너무나 자연스럽게 일을 시작했다. 서씨는 “일이 그렇게 힘들다고 느끼진 않는다”며 “일을 운동처럼 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꽤 규모 있는 축산업을 하고 있는 31살의 상면 장동준 농부. 그 역시 23살에 시작했으니 벌써 9년차다. 그는 직접 원해서 시작한 선택이라 하루하루를 열심히 사는 성실한 농부다. 힘든 일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열심히 하면 뭐든 다 된다는 생각이다. 수익 측면에서도 불만은 없다.

저작권자 © 포커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